'해당 내용은 김영한 개발자님의 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강의를 바탕으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PORT
PORT는 위의 그림처럼 서버에 게임과 뉴스기사 홈페이지의 서비스가 동시에 이루어지고 있을 때,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는 식별 방법이 될 수 있다. 그래서 기존 TCP 세그먼트를 보면 출발지 PORT, 목적지 PORT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이것을 통해 TCP/IP가 출발지 IP, 목적지 IP, 출발지 PORT, 목적지 PORT로 원하는 서비스에 잘 도착할 수 있다.
TCP/IP, PORT가 헷갈린다면 IP를 동 PORT가 호수 라고 생각하자
예) 111동(주소) 101호(PORT)
DNS(Domain Name System)
IP 주소가 인터넷에서 컴퓨터들을 식별하고 있지만, 127.0.0.1와 같은 IP주소는 우리와 친숙하지 않다. 게다가 이용해야 할 사이트들이 많다면 해당 사이트들의 IP주소들을 다 기억하고 있어야 한다.
DNS는 우리가 접속하고자 하는 사이트들을 쉽게 기억할 수 있게 한다.
원하는 사이트를 검색하면 DNS에서 사이트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반환하여 사이트가 열리도록 하고 있다.
DNS는 .을 기준으로 third-level-domain.second-level-domain.top-level-domain 으로 구성되어 있다.
TLD(Top-level-domain:최상위 도메인)는 일반 최상위 도메인인 .com, .kr과 같은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second level domain은 회사나 기업의 등록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장 앞인 third level domain은 서브도메인으로 불리는데 다중의 사이트를 만들고 연결할 때,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doyaji.com, www.doyaji.com 모두 같은 사이트로 들어가는 것처럼 말이다.
1) 참고목록 :
김영한 - 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https://www.khanacademy.org/computing/computers-and-internet/xcae6f4a7ff015e7d:the-internet/xcae6f4a7ff015e7d:web-protocols/a/domain-name-system-dns?modal=1
'Web > HTTP'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 IP, TCP, UDP (2) | 2022.09.30 |
---|